
경제인투데이 류현민 기자 | 충북도는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추진한 중소기업 대상 ‘2024년 해외마케팅 지원사업’에 대한 성과를 분석한 결과, 수출효율성은 12배, 수출성사율은 33.3%를 기록, 전년 대비 각각 효율성은 53%, 성사율은 44%가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출효율성은 도 예산으로 투입된 사업비 대비 수출액을 나타내는 지표로 ‘24년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예산 23.9억 원 대비 수출액은 285억 원으로 예산 1억 원당 약 12억 원의 수출 성과가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수출성사율은 사업참여기업 수 대비 수출 성사기업 비율로 참여기업 10곳 중 3곳 이상이 수출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사율은 진성 바이어 발굴과 사후관리의 결과, 실질적 계약으로 이어진 비율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수출 성과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성사율의 증가는 수출 증가의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충북도의 설명이다.
이러한 성과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물류비 상승 등 어려운 대외 무역환경 속에서 유망 해외 무역전시회 발굴, 시장분석을 통한 전략적 무역사절단 파견 등 맞춤형 마케팅을 펼친 결과로 풀이된다.
해외 무역전시회는 디트로이트 배터리쇼 등 7개 유수 전시회에 110개 기업이 참가해 190억 원의 수출성과를 달성했으며, 무역사절단은 태국과 베트남 등 신흥시장을 전략적으로 공략하여 58억 원의 성과와 함께 수출 다변화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다.
김두환 충북도 경제통상국장은 “수출효율성과 성사율의 두 자릿수 증가는 충북도 무역이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도 동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이러한 성과는 도의 맞춤형 전략과 도내 기업인들의 땀과 노력이 빛을 발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한편, 충북도는 지난해 성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중소기업 해외마케팅 지원 26개 사업에 29.8억 원을 투입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