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투데이 류현민 기자 | 고용노동부는 2025년 8월 15세 이상 고용률은 63.3%로 전년대비 +0.1%p 상승, 15~64세 고용률은 69.9%로 전년대비 +0.1%p 상승했다고 밝혔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4.6%로 전년대비 +0.2%p 상승했으며, 실업률은 2.0%로 전년대비 +0.1%p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30대(80.8%, +0.5%p) 및 40대(79.9%, +0.5%p)ㆍ60세 이상(47.9%, +1.1%p)에서 고용률이 상승했고, 청년층(45.1%, △1.6%p)은 고용률이 하락했으며, 50대(77.5%, 0.0%p)는 보합세를 보였다.
15세 이상 경활률·고용률 및 15~64세 고용률은 8월 기준 역대 1위를 기록했으며, 1~8월 경활률(64.7%)·고용률(62.8%)·15~64세 고용률(69.7%)도 동기간 기준 역대 1위이다.
취업자수는 전년대비 16.6만명 증가하여 8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를 이어갔으며, 1~8월 기준으로 17.8만명 증가하면서 정부 취업자수 전망(17만, 2025년 8월)을 상회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46.0→48.4만명)이 보건복지업(26.3→30.4만명)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확대됐으며, 최근 부진했던 숙박음식업(△7.1→0.0만명)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효과 등으로 전월 대비 크게 개선됐다.
제조업(△7.8→△6.1만명) 고용 감소세가 지속됐으나 감소폭은 축소됐고, 건설업(△9.2→△13.2만명)은 입주물량 감소 영향으로 감소폭이 확대됐다. 농림어업(△12.7⟶△13.8만명)은 강우 등 기상 영향으로 10만명대 감소했다.
지위별로는 상용직(31.9→34.8만명)이 증가했고 임시직(1.6→△1.2만명)ㆍ일용직(△4.8→△6.7만명)은 감소했다.
청년은 취업자수 감소폭이 확대(△15.8→△21.9만)되고 전문과학·정보통신업 증가세 축소 등으로 고용률 하락폭이 확대되는 등 고용여건 어려움이 지속되는 모습이다.
다만, 청년 쉬었음 인구는 4달 연속 전년비 감소했다.
정부는 AI 대전환 및 초혁신경제 30대 선도프로젝트 등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핵심과제를 적극 추진하여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 창출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소비심리 개선흐름을 이어갈 수 있도록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9.22일 예정)을 차질없이 지급하고, 추석 민생안정대책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다.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해 피해기업 대상 정책자금 지원을 강화하고, 산업 및 고용위기 선제 대응지역에 대한 지원에도 만전을 기한다.
건설경기 보완을 위해 8월에 발표한 지방 부동산 수요 보완 및 SOC 신속 집행, 공사비 부담완화 등'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아울러, 청년 AI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취업준비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구직 · 쉬었음 청년 대상 고용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청년 고용여건 개선 노력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