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투데이 류현민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는 도내 농식품기업이 겪고 있는 기술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협의 자리를 마련했다.
도는 지난 15일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에서 ‘농생명혁신성장위원회 혁신기획단’ 제2차 회의를 개최하고, 전문경력 활동가와의 연계를 통한 기업 기술 컨설팅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전북특별자치도를 비롯해 농생명 산업과 관련한 기술을 보유한 도내 주요 기관 6곳이 참석했다. 참석 기관은 ▲전북자치도 ▲도 농업기술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전북테크노파크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등으로, 농생명 분야의 연구개발 및 기술지원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들이다.
또한 농생명혁신성장위원회 내 5개 분과(그린바이오, 푸드테크, 스마트농업(원예), 종자, 반려동물)의 위원장과 전문경력을 보유한 활동가 등 약 30명이 함께 자리했다. 이들은 회의에서 과제 발굴 현황을 점검하고, 애로기술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와 기업 맞춤형 컨설팅 추진 상황을 공유하며 향후 실질적인 현장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김제에 위치한 ‘다복솔식품’이 소개됐다. 이 업체는 떡 제품의 굳음 현상으로 인해 품질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농촌진흥청이 보유한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을 개발한 전문가와의 매칭을 통해 기술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익산에 소재한 ‘라라스팜’은 콩비지를 활용한 식이섬유 신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한계를 마주했다. 이에 따라 콩 가공 분야에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와의 컨설팅을 통해 제품 개발의 방향성을 잡고, 관련 기술을 이전받아 사업화에 나설 계획이다.
이외에도 참석자들은 연말까지 50개 농식품기업을 대상으로 현장 방문을 통해 기술 애로사항을 직접 듣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정도건 전북자치도 농식품산업과장은 “농식품기업의 기술적 어려움을 현장에서 직접 듣고, 전문가와 연계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며, “앞으로도 농생명 분야 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농생명혁신성장위원회를 중심으로 기술과 정책, 기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도내 농식품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다져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