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인투데이 류현민 기자 | 경상남도교육청은 30일 2층 중회의실에서 ‘제3기 경남교육청 국어 바르게 쓰기 위원회’를 출범식을 열고 구성원들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확산하기 위한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 공공언어: 정부·공공기관 등에서 사회 구성원에게 전달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공공성을 띤 언어. 보도 자료, 법령, 게시문, 민원서류 양식 등을 말함
경남교육청은 '국어 바르게 쓰기 조례'제5조~11조에 따라 2021년부터 임기 2년의 국어 바르게 쓰기 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제3기 위원회는 내부 위원 3명과 외부 위원 6명 등 총 9명으로 구성했으며, 외부 위원은 국어·한글 관련 기관과 단체, 대학, 경상남도의회의 추천을 받아 위촉했다.
위원회는 △국어 사용 추진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행정용어 순화에 관한 사항 △교육청의 주요 정책사업 명칭에 관한 사항 △국어 사용 환경 개선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하거나 자문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3기 위원회를 이끌어갈 위원장으로 박인 도의원을, 부위원장으로 양연규 한글학회 경남지회 평의원을 선출했다.
또한, 사전에 본청 각 과, 직속 기관, 교육지원청로부터 접수된 정책사업 명칭 및 시설물 명칭 안건을 심의했다. 위원회는 ‘안내 데스크(desk)’와 ‘대출·반납 카운터(counter)’를 ‘안내하는 곳’와 ‘대출·반납하는 곳’으로, ‘자료 검색 키오스크(kiosk)’를 ‘자료 검색기’로, ‘미디어 퍼사드(media facade)’는 ‘외벽 영상’으로 다듬어 사용할 것을 권했다.
박인 위원장은 “경남교육청이 국어책임관 업무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는 만큼 ‘국어 바르게 쓰기 위원회’가 구성원의 올바른 국어 사용 문화를 확산하는 구심점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