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09.11 (목)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양파 시들음병 모종 단계부터 대비하세요!

재사용 육묘판 소독과 상토 방제 관리로 양파 시들음병 예방 가능

 

경제인투데이 류현민 기자 |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양파 유묘 재배 시기인 9~10월에 ‘양파 시들음병’이 발생할 수 있다며, 기계 정식 재배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육묘판 소독과 상토 방제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했다.

 

양파 시들음병은 Fusarium oxysporum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한다. 감염되면 잎이 노랗게 변하고 뿌리 발달이 원활하지 않아 생육이 크게 떨어지며, 심하면 포기가 말라 죽는다. 모종 단계에서 병이 시작되면 수확기와 저장 과정까지 피해가 이어져 농가의 경제적 손실이 크다.

 

시들음병 예방의 첫걸음은 건전한 유묘 생산이다. 오염된 육묘판은 건전한 유묘 생산을 어렵게 하고, 병원균이 장기간 살아남아 매년 피해가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새 육묘판을 사용하거나, 지난해 사용한 육묘판은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

 

소독 방법은 ▵차아염소산나트륨(유효염소 4%)과 물을 1:9로 희석한 용액에 30분 이상 담그거나 ▵60℃ 이상의 온수에 60분 이상 침지하면 된다.

 

육묘에 사용하는 상토 역시 주요 전염원이 될 수 있다. 파종 전에 등록 약제를 살포하거나, 파종 후 물주기 방식으로 처리하면 병원균 밀도를 낮출 수 있다. 관련 농약 정보는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토양 습도가 높으면 병원균 밀도가 증가하므로 관리가 중요하다. 육묘판 밑에 방수 매트나 받침대를 설치해 모종 뿌리가 토양 병원균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 감염과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한인영 연구사는 “양파 시들음병은 토양전염성 병해로 한번 발생하면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라며, “철저한 소독과 재배 관리가 피해를 줄이는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양파는 우리 식탁의 기본 채소이자 국내 채소 자급률을 지탱하는 주요 작물이다. 경남농업기술원은 올가을 양파 재배 농가가 건강한 양파를 생산할 수 있도록 시들음병 예방 관리 요령을 안내하고, 기술지원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