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3.0℃흐림
  • 강릉 20.8℃흐림
  • 서울 27.9℃
  • 대전 28.0℃구름많음
  • 대구 27.6℃흐림
  • 울산 25.5℃구름많음
  • 광주 28.6℃구름조금
  • 부산 28.2℃구름조금
  • 고창 28.4℃구름조금
  • 제주 29.8℃구름많음
  • 강화 26.6℃흐림
  • 보은 23.2℃구름많음
  • 금산 27.2℃구름많음
  • 강진군 29.6℃구름많음
  • 경주시 26.8℃구름많음
  • 거제 28.6℃맑음
기상청 제공

2025.07.24 (목)

질병관리청, 여름철 물놀이 사고 고령층 어린이 주의 필요

최근 5년(2020~2024) 익수사고 현황 분석 결과 여름철, 야외, 오후 시간 집중 발생

 

경제인투데이 류현민 기자 | 질병관리청은 다가오는 방학 및 휴가철을 맞아 여름철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익수(물에 빠짐) 사고에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올 여름은 무더위가 길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물놀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따라 익수사고 발생 위험요인과 취약대상 등을 분석하고, 안전수칙과 응급처치 방법, 체크리스트 등을 담은 리플릿과 카드뉴스를 배포했다.

 

2020년부터 2024까지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참여병원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익수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총 523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남자가 385명(73.6%)으로 여자 138명(26.4%)보다 약 2.8배 정도 많았다.

 

연령별로는 9세 이하 어린이가 전체의 29.6%로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이 27.3%, 60-69세가 13.2%로 뒤를 이었다.

 

조사 기간동안 익수사고로 150명(28.7%)이 사망했으며, 70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51.7%(74명)가 익수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 고령화에 따라 70세 이상의 익수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어린이 뿐만 아니라 고령층의 익수사고에 대한 인식개선과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익수사고는 물놀이 관련 활동이 많아지는 여름(36.9%)에 주로 발생했고, 주말(토요일 20.1%, 일요일 18.5%)에 발생 빈도가 높았으며, 평일 중에는 금요일이 15.3%로 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는 12~18시로 38.4%로 확인됐으며, 18~24시가 33.3%로 뒤를 이었다.

 

기후 변화에 따라 익수사고의 발생 패턴이 변화한 점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거(2015년~2019년)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37.1%)하던 익수사고가 최근 몇 년새(2020년~2024년) 26.2%로 10.9%p 감소한 반면, 6월과 9월은 기존 14.1%에서 18.0%로 증가했다. 사고 시간대 역시 과거에는 오후 시간대(12-18시)에 발생(45.0%)하고 06~12시는 14.3%였으나, 최근에는 각각 38.4%, 20.1%로 오전시간에 발생하는 익수사고가 증가했다.

 

이는 더위가 길어짐에 따라 익수사고의 발생월 및 발생시간의 범위도 확대됐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금은 과거보다 주의해야 하는 기간이 더 길어지고(6~9월), 이전보다 오전시간에도 세밀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익수사고의 대부분은 여가활동(45.9%) 및 일상생활(35.0%) 중에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익수사고 발생장소는 주로 바다, 강 등 야외(46.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락시설 등 다중이용시설(목욕탕·워터파크 등, 30.2%), 수영장 등 운동시설(8.8%)에서도 다수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물놀이 시 주의해야할 안전수칙과 응급처치법 및 체크리스트를 리플릿과 카드뉴스 형태로 배포한다.

 

리플릿에는 물놀이 활동 전과 활동 중 주의해야 할 내용과 물놀이 중 다쳤을 때 응급처치할 수 있는 방법을 담았다. 또한, 물놀이 체험활동 시 확인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동시에, 물놀이 사고 10대 안전수칙을 카드뉴스를 통해 배포한다. 질병관리청이 매월 소개하고 있는 이달의 건강소식에 7월 주제로 물놀이 안전수칙을 안내하고 국민들의 참여를 높이고자 안전수칙 홍보를 위한 이벤트도 진행한다.

 

동 리플릿과 안전수칙은 국가손상정보포털 및 질병관리청 누리집, 카카오톡 채널(대한민국 질병관리청)을 통해 안내하고 있다.

 

자료원으로 활용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는 손상으로 23개 참여병원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발생 원인(손상기전, 손상유발물질 등) 및 손상 발생 특성(손상 발생장소·시간, 손상시 활동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주요 결과를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2024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는 국가손상정보포털을 통해 원시자료와 함께 8월에 공개할 예정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매년 익수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전체 손상환자의 0.1% 수준이나 그 중 28.7%가 사망할 정도로 사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안전수칙 등을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특히, 발생 및 사망률이 높은 어린이와 노인 등을 중심으로 익수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관리에 유의하고, 술이나 약물 복용 후 물놀이는 절대 삼가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매년 7월 25일은 UN 총회에서 정한 '세계 익사 예방의 날(World Drowning Prevention Day)'로, 올해는 ‘익사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지만, 누구에게도 일어나선 안 된다(Anyone can drown, No one should).’란 주제로 캠페인을 진행중”으로, “질병관리청도 국제적인 손상 예방 흐름에 맞춰 손상 예방 관리를 통한 건강한 국민, 안전한 사회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